맨위로가기

김보영 (소설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보영은 1975년생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게임 개발, 시나리오 작가,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다가 2004년 《감각의 경험》으로 대한민국 과학기술 창작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데뷔했다. 이후 한국 SF 어워드에서 세 차례 수상했으며, 봉준호 감독의 영화 《설국열차》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했다. 또한, 클라크스월드 매거진에 단편 소설이 게재되며 영어로 번역된 작품도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SF 작가 - 김초엽
    김초엽은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에서 수상하며 데뷔한 대한민국의 과학 소설 작가로,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과를 졸업하고 생화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표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SF 작가 - 장강명
    장강명은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2011년 소설 『표백』으로 등단하여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다.
  • 게임 시나리오 작가 - 우치코시 코타로
    우치코시 코타로는 1973년생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시나리오 작가, 게임 디렉터로서, 극한탈출 시리즈와 AI: 섬니움 파일즈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코다카 카즈타카와 함께 투쿄 게임즈를 설립하여 독특한 스토리텔링으로 인정받고 있다.
  • 게임 시나리오 작가 - 호리이 유지
    호리이 유지는 일본의 게임 디자이너이자 작가, 만화 원작자로,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시나리오 및 게임 디자인을 담당하여 일본 롤플레잉 게임(RPG)의 전형을 확립했으며, 다양한 게임 제작과 감독을 거쳐 수상 경력과 함께 고향의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었다.
  • 1975년 출생 - 마크 비두카
    마크 비두카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전 축구 선수로, 멜버른 나이츠에서 데뷔하여 여러 유럽 클럽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보였고,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 주장으로서 월드컵 및 아시안컵에 참가했으며, 다수의 개인 수상 경력과 함께 여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75년 출생 - 코코 리
    코코 리는 홍콩 태생의 미국 가수로, 만도팝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아시아의 머라이어 캐리'로 불렸고, 1993년 데뷔 후 아시아에서 베스트셀러 앨범을 발매하고 영화 《와호장룡》 주제가를 불러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공연했으며, 《뮬란》 만다린어 더빙판에서 뮬란 역을 맡았고, 2016년 《나는 가수다》 시즌 4에서 우승했으나 2023년 우울증으로 사망 후 《싱! 차이나》 출연 당시 부당 대우 의혹이 제기되었다.
김보영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보영 작가
김보영 작가
인물 정보
본명김보영
출생1975년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장르과학 소설
판타지
활동 기간2004년 ~
작품 활동
주요 작품《멀리 가는 이야기》
《진화신화》
《7인의 집행관》
수상
수상 내역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인간 관계
배우자알려진 정보 없음
동거인알려진 정보 없음
자녀알려진 정보 없음
친척알려진 정보 없음
영향을 받은 인물헤르만 헤세
애거사 크리스티
영향을 준 인물알려진 정보 없음
웹사이트
웹사이트Kaya Press 작가 페이지

2. 생애

김보영은 1975년에 태어났다. 작가가 되기 전에는 한국의 컴퓨터 게임 개발사 가람과 바람에서 시나리오 작가, 게임 개발자,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했다.

2004년, 그녀의 첫 소설 작품인 《감각의 경험》이 제1회 대한민국 과학기술 창작 문학상을 수상했다.[3][4] 이후 《일곱 개의 대행성》(2013)으로 장편 부문,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2014)으로 중단편 부문, 《얼마나 닮았는가》(2017)로 중단편 부문에서 각각 한국 SF 어워드를 세 번 수상했다.[5][6]

김보영의 단편 소설은 종종 세월호 침몰 사고와 같은 한국 사회의 중대한 분기점이나, 유명 게임의 여성 성우가 "소녀에게 왕자는 필요 없다"는 문구가 적힌 티셔츠를 입은 사진을 게시하여 해고된 사건으로 비공식적으로 '한국 게이머게이트'로 불린 사건에서 영감을 얻거나 그 사건에 뿌리를 두고 있다.[7]

최근까지 김보영은 클라크스월드 매거진에 단편 소설이 게재된 덕분에 영어로 번역된 몇 안 되는 한국 SF 작가 중 한 명이었다.[8] 현재 영어로 번역된 김보영의 작품으로는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요》(HarperVoyager, 2021, 번역 소피 보우먼 및 성류), 《종의 기원 외》(Kaya Press, 2021)가 있다. 소라 김-러셀과 정민 리 컴포트가 번역한 《종의 기원 외》는 2021년 전미 도서상 번역 문학상 롱리스트에 올랐다.[9][10]

3. 작품 활동

3. 1. 작가로서의 활동

3. 2. 영화 시나리오

봉준호 감독의 영화 《설국열차》 1차 시나리오 작업에 참가했다.[15]

3. 3. 기타 활동

김보영은 폴라북스 공식 블로그 및 온우주 출판사 소식지에 '보이다'라는 필명으로 SF 소설을 소개하는 웹툰 및 4컷 만화를 게재한 바 있다.

4. 수상 내역

5. 작품 목록


  • ''7인의 집행관'' (2013년 1월, 폴라북스) : 2008년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2009년 교보문고 디키스토리에서 일부분을 연재하였고, 2013년 1월에 출판되었다.[14] 제1회 SF어워드 장편소설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14]
  •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2015년 5월, 기적의책)


=== 단편 소설 ===

  • 〈촉각의 경험〉 (2002): Junk SF 발표, 2004년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중편소설 부문 수상.[13]
  • 〈다섯 번째 감각〉 (2002): Junk SF 발표.[13]
  • 〈미래로 가는 사람들〉 (2004):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본선 진출.[13]
  • 〈우수한 유전자〉 (2004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19호 발표.[13]
  • 〈종의 기원〉 (2005년 3월): 거울 22호 발표.[13]
  • 〈몽중몽〉 (2006년 6월): 거울 36호 발표.
  • 〈땅 밑에 (1부)〉 (2006년 6월): 웹진 크로스로드 발표.
  • 〈땅 밑에 (2부)〉 (2006년 7월): 웹진 크로스로드 발표.
  • 〈진화신화〉 (2006년 11월): 《Happy SF》 2호 발표.
  • 〈거울애〉 (2007년 5월): 거울 48호 발표.
  • 〈뽀뽀할 상대가 없어〉 (2007년 12월): 거울 54.5호 (성탄 특집 초단편) 게재.
  • 〈스크립터〉 (2008년 11월): 문장 글틴 발표.
  • 〈0과 1 사이〉 (2009년 2월): 웹진 크로스로드 발표.
  • 〈노인과 소년〉 (2009년 6월): 네이버 오늘의 문학 게재.
  • 〈신문이 말하기를〉 (2010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85호 발표.
  • 〈전송 오류〉 (2011년): 《과학동아》 2011년 11월호 게재.
  • 〈이사가는 날〉 (2012년): 《과학동아》 2012년 3월호 게재.
  • 〈단추 채우기〉 (2013년): 《과학동아》 2013년 2월호 게재.
  • 〈새벽기차〉 (2013년): 《과학동아》 2013년 6월호 게재.
  • 〈저 이승의 선지자 (1부)〉 (2013년 12월): 웹진 크로스로드 발표.
  • 〈저 이승의 선지자 (2부)〉 (2014년 1월): 웹진 크로스로드 발표.
  • 〈An Evolutionary Myth〉 (2015년 5월): Clarkesworld 104호 발표. 〈진화신화〉의 영어판.
  • 〈빨간 두건 아가씨〉 (2017년 3월): 《한겨레》 게재.


=== 단편집 ===

  • ''진화 신화'' (2010)
  • ''7인의 집행관'' (2013)
  • ''저 이승의 선지자'' (2017)
  • ''얼마나 닮았는가'' (2020)
  •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2020)
  •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4) - 〈촉각의 경험〉 (중편소설 부문 수상작) 수록.
  • 《2006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6) - 〈우수한 유전자〉 (초청작품) 수록.
  • 《누군가를 만났어》 (2007) - 〈종의 기원〉,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배명훈, 박애진과 함께 펴낸 3인 공동 단편집.
  •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 (2007) - 〈마지막 늑대〉 수록.
  • 《얼터너티브 드림》 (2008) - 〈땅 밑에〉 수록.
  •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008) - 〈몽중몽〉 수록.
  • 《U, ROBOT》 (2009) - 〈다섯 번째 감각〉 수록.
  • 《죽은 자들에게 고하라》 (2009) - 〈0과 1 사이〉 수록.
  •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 (2009) - 〈노인과 소년〉 수록.
  • 《백만 광년의 고독》 (2009)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수록.
  • 《독재자: SF/환상문학 테마 단편선》 (2010) - 〈신문이 말하기를〉 수록.
  • 《이웃집 슈퍼히어로》 (2015)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수록.
  •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2017) - 〈얼마나 닮았는가〉 수록.
  •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2018) - 〈로그스 갤러리, 종로〉 수록.
  • 《멀리 가는 이야기》 (2005) - 〈촉각의 경험〉, 〈다섯 번째 감각〉, 〈우수한 유전자〉, 〈종의 기원〉, 〈종의 기원 ─ 그 후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웹진 거울에서 펴낸 개인지.
  • 작가의 발견 3 《멀리 가는 이야기》 (2010) - 〈촉각의 경험〉, 〈다섯 번째 감각〉, 〈우수한 유전자〉, 〈종의 기원〉, 〈종의 기원 ─ 그 후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 작가의 발견 4 《진화신화》 (2010) - 〈진화신화〉, 〈땅 밑에〉,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몽중몽〉, 〈거울애〉, 〈0과 1 사이〉, 〈마지막 늑대〉, 〈스크립터〉, 〈노인과 소년〉 수록.
  • 《저 이승의 선지자》 (2017) - 〈저 이승의 선지자〉, 〈새벽기차〉, 〈그 하나의 생에 대하여〉 수록.
  • 《얼마나 닮았는가》 (2020) - 〈엄마는 초능력이 있어〉, 〈0과 1 사이〉, 〈빨간 두건 아가씨〉, 〈고요한 시대〉, 〈니엔이 오는 날〉,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로그스 갤러리, 종로〉, 〈걷다, 서다, 돌아가다〉, 〈얼마나 닮았는가〉, 〈같은 무게〉 수록.
  • 《다섯 번째 감각》 (2022)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땅 밑에〉, 〈촉각의 경험〉, 〈다섯 번째 감각〉, 〈우수한 유전자〉, 〈마지막 늑대〉, 〈스크립터〉, 〈거울애〉, 〈노인과 소년〉, 〈몽중몽〉 수록.


=== 공동 작품집 ===

  •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4년) - 〈촉각의 경험〉 (중편소설 부문 수상작) 수록.
  • 《2006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6년) - 〈우수한 유전자〉 (초청작품) 수록.
  • 《누군가를 만났어》 (2007년) - 배명훈, 박애진과 함께 펴낸 3인 공동 단편집으로, 〈종의 기원〉,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2009년 북큐브에서 전자책 버전이 출간되었다.
  •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 (2007년) - 〈마지막 늑대〉 수록.
  • 《얼터너티브 드림》 (2008년) - 〈땅 밑에〉 수록.
  •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008년) - 〈몽중몽〉 수록.
  • 《U, ROBOT》 (2009년) - 〈다섯 번째 감각〉 수록.
  • 《죽은 자들에게 고하라》 (2009년) - 〈0과 1 사이〉 수록.
  •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 (2009년) - 〈노인과 소년〉 수록.
  • 《백만 광년의 고독》 (2009년)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수록.
  • 《독재자: SF/환상문학 테마 단편선》 (2010년) - 〈신문이 말하기를〉 수록.
  • 《이웃집 슈퍼히어로》 (2015년)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수록.
  •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2017년) - 〈얼마나 닮았는가〉 수록.
  •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2018년) - 〈로그스 갤러리, 종로〉 수록.
  • 2006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변신!》 (2006년) - 〈몽중몽〉 수록.
  • 환상문학웹진 거울 타로카드 단편선 《타로카드 22제》 (2009년) - 〈노인과 소년〉 수록.
  • 《에스콰이어》 2011년 10월호 별책 SF 단편선 《Multiverse》 (2011년) - 〈진화신화〉 수록. 김보영은 곽재식의 〈읽다가 그만두면 큰일 나는 글〉을 담당했다.
  • 호연마을 피망 단편선 《호연피망》 (2012년) - 〈같은 무게〉 (김종욱과 공저) 수록.


=== 에세이 ===

  • 〈진실 없는 세상…"망원경으로 과거를 볼 수 있다면?"〉 (2009년 7월, 프레시안 기고)
  • 〈'SF, 미래에서 온 이야기' <1>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3원칙〉 (2017년 3월, 한국일보 기고)
  • 〈'SF, 미래에서 온 이야기' <3>제임스 팁트리 주니어가 통찰한 여성혐오〉 (2017년 3월, 한국일보 기고)

5. 1. 장편 소설

《7인의 집행관》은 2008년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2009년 교보문고 디키스토리에서 일부분을 연재하였고, 2013년 1월에 폴라북스에서 출판되었다.[14] 제1회 SF어워드 장편소설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14]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는 2015년 5월에 기적의책에서 출판되었다.

5. 2. 단편 소설

김보영은 2002년 Junk SF에 〈촉각의 경험〉과 〈다섯 번째 감각〉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13] 〈촉각의 경험〉은 2004년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중편소설 부문에서 수상했다.[13] 같은 해 〈미래로 가는 사람들〉이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본선에 진출했다.[13]

2004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19호에 〈우수한 유전자〉를 발표했고, 2005년 3월에는 거울 22호에 〈종의 기원〉을 발표했다.[13] 2006년 6월에는 거울 36호에 〈몽중몽〉을, 웹진 크로스로드에 〈땅 밑에 (1부)〉를 발표했다. 이어 7월에는 크로스로드에 〈땅 밑에 (2부)〉를 게재했다. 2006년 11월에는 《Happy SF》 2호에 〈진화신화〉를 발표했다.

2007년 5월, 거울 48호에 〈거울애〉를 발표했고, 12월에는 거울 54.5호 (성탄 특집 초단편)에 〈뽀뽀할 상대가 없어〉를 게재했다. 2008년 11월에는 문장 글틴에 〈스크립터〉를, 2009년 2월에는 웹진 크로스로드에 〈0과 1 사이〉를 발표했다. 2009년 6월에는 네이버 오늘의 문학에 〈노인과 소년〉을 게재했다.

2010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85호에 〈신문이 말하기를〉을 발표했다. 2011년에는 《과학동아》 2011년 11월호에 〈전송 오류〉를, 2012년에는 《과학동아》 2012년 3월호에 〈이사가는 날〉을 게재했다. 2013년에는 《과학동아》 2013년 2월호에 〈단추 채우기〉, 6월호에 〈새벽기차〉를 발표했다.

2013년 12월과 2014년 1월에는 웹진 크로스로드에 〈저 이승의 선지자 (1부)〉와 〈저 이승의 선지자 (2부)〉를 각각 발표했다. 2015년 5월에는 Clarkesworld 104호에 〈진화신화〉의 영어판인 〈An Evolutionary Myth〉를 발표했다. 2017년 3월에는 《한겨레》에 〈빨간 두건 아가씨〉를 게재했다.

김보영은 웹진 거울에서 'ida'라는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웹툰을 발표할 때는 '보이다'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2004)에 〈촉각의 경험〉이, 《2006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에 〈우수한 유전자〉가 수록되었다. 《누군가를 만났어》(2007)에는 〈종의 기원〉, 〈미래로 가는 사람들〉, 〈첫 번째 이야기: 起 ─ 우주의 끝을 찾아내는 법〉, 〈두 번째 이야기(혹은 첫 번째 이야기): 承 ─ 하늘에서 내려온 이들이 해야 할 일〉, 〈세 번째 이야기: 轉 ─ 광속도에서 일어나는 일〉, 〈네 번째 이야기: 合 ─ 네 번째의 축으로 가는 법〉이 수록되었다.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2007)에는 〈마지막 늑대〉가, 《얼터너티브 드림》(2008)에는 〈땅 밑에〉가,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2008)에는 〈몽중몽〉이 수록되었다. 《U, ROBOT》(2009)에는 〈다섯 번째 감각〉이, 《죽은 자들에게 고하라》(2009)에는 〈0과 1 사이〉가,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2009)에는 〈노인과 소년〉이, 《백만 광년의 고독》(2009)에는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가 수록되었다.

《독재자: SF/환상문학 테마 단편선》(2010)에는 〈신문이 말하기를〉이, 《이웃집 슈퍼히어로》(2015)에는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이,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2017)에는 〈얼마나 닮았는가〉가,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2018)에는 〈로그스 갤러리, 종로〉가 수록되었다.

김보영의 단편 소설로는 ''진화 신화''(2010), ''7인의 집행관''(2013), ''저 이승의 선지자''(2017), ''얼마나 닮았는가''(2020),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2020) 등이 있다.

5. 3. 단편집


  •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4) - 〈촉각의 경험〉 (중편소설 부문 수상작) 수록.
  • 《2006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6) - 〈우수한 유전자〉 (초청작품) 수록.
  • 《누군가를 만났어》 (2007) - 〈종의 기원〉,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배명훈, 박애진과 함께 펴낸 3인 공동 단편집.
  •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 (2007) - 〈마지막 늑대〉 수록.
  • 《얼터너티브 드림》 (2008) - 〈땅 밑에〉 수록.
  •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008) - 〈몽중몽〉 수록.
  • 《U, ROBOT》 (2009) - 〈다섯 번째 감각〉 수록.
  • 《죽은 자들에게 고하라》 (2009) - 〈0과 1 사이〉 수록.
  •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 (2009) - 〈노인과 소년〉 수록.
  • 《백만 광년의 고독》 (2009)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수록.
  • 《독재자: SF/환상문학 테마 단편선》 (2010) - 〈신문이 말하기를〉 수록.
  • 《이웃집 슈퍼히어로》 (2015)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수록.
  •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2017) - 〈얼마나 닮았는가〉 수록.
  •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2018) - 〈로그스 갤러리, 종로〉 수록.
  • 《멀리 가는 이야기》 (2005) - 〈촉각의 경험〉, 〈다섯 번째 감각〉, 〈우수한 유전자〉, 〈종의 기원〉, 〈종의 기원 ─ 그 후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웹진 거울에서 펴낸 개인지.
  • 작가의 발견 3 《멀리 가는 이야기》 (2010) - 〈촉각의 경험〉, 〈다섯 번째 감각〉, 〈우수한 유전자〉, 〈종의 기원〉, 〈종의 기원 ─ 그 후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 작가의 발견 4 《진화신화》 (2010) - 〈진화신화〉, 〈땅 밑에〉,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몽중몽〉, 〈거울애〉, 〈0과 1 사이〉, 〈마지막 늑대〉, 〈스크립터〉, 〈노인과 소년〉 수록.
  • 《저 이승의 선지자》 (2017) - 〈저 이승의 선지자〉, 〈새벽기차〉, 〈그 하나의 생에 대하여〉 수록.
  • 《얼마나 닮았는가》 (2020) - 〈엄마는 초능력이 있어〉, 〈0과 1 사이〉, 〈빨간 두건 아가씨〉, 〈고요한 시대〉, 〈니엔이 오는 날〉,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로그스 갤러리, 종로〉, 〈걷다, 서다, 돌아가다〉, 〈얼마나 닮았는가〉, 〈같은 무게〉 수록.
  • 《다섯 번째 감각》 (2022)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땅 밑에〉, 〈촉각의 경험〉, 〈다섯 번째 감각〉, 〈우수한 유전자〉, 〈마지막 늑대〉, 〈스크립터〉, 〈거울애〉, 〈노인과 소년〉, 〈몽중몽〉 수록.
  • 《진화 신화》 (2010)
  • 《7인의 집행관》 (2013)
  • 《저 이승의 선지자》 (2017)
  • 《얼마나 닮았는가》 (2020)
  •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2020)

5. 4. 공동 작품집


  •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4년) - 〈촉각의 경험〉 (중편소설 부문 수상작) 수록.
  • 《2006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6년) - 〈우수한 유전자〉 (초청작품) 수록.
  • 《누군가를 만났어》 (2007년) - 배명훈, 박애진과 함께 펴낸 3인 공동 단편집으로, 〈종의 기원〉, 〈미래로 가는 사람들〉 수록. 2009년 북큐브에서 전자책 버전이 출간되었다.
  •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 (2007년) - 〈마지막 늑대〉 수록.
  • 《얼터너티브 드림》 (2008년) - 〈땅 밑에〉 수록.
  •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008년) - 〈몽중몽〉 수록.
  • 《U, ROBOT》 (2009년) - 〈다섯 번째 감각〉 수록.
  • 《죽은 자들에게 고하라》 (2009년) - 〈0과 1 사이〉 수록.
  •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 (2009년) - 〈노인과 소년〉 수록.
  • 《백만 광년의 고독》 (2009년)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수록.
  • 《독재자: SF/환상문학 테마 단편선》 (2010년) - 〈신문이 말하기를〉 수록.
  • 《이웃집 슈퍼히어로》 (2015년)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수록.
  •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2017년) - 〈얼마나 닮았는가〉 수록.
  •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2018년) - 〈로그스 갤러리, 종로〉 수록.
  • 2006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변신!》 (2006년) - 〈몽중몽〉 수록.
  • 환상문학웹진 거울 타로카드 단편선 《타로카드 22제》 (2009년) - 〈노인과 소년〉 수록.
  • 《에스콰이어》 2011년 10월호 별책 SF 단편선 《Multiverse》 (2011년) - 〈진화신화〉 수록. 김보영은 곽재식의 〈읽다가 그만두면 큰일 나는 글〉을 담당했다.
  • 호연마을 피망 단편선 《호연피망》 (2012년) - 〈같은 무게〉 (김종욱과 공저) 수록.

5. 5. 에세이

김보영은 프레시안과 한국일보에 글을 기고했다. 2009년 7월 프레시안에는 〈진실 없는 세상…"망원경으로 과거를 볼 수 있다면?"〉을 기고했다. 2017년 3월 한국일보에는 〈'SF, 미래에서 온 이야기' <1>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3원칙〉과 〈'SF, 미래에서 온 이야기' <3>제임스 팁트리 주니어가 통찰한 여성혐오〉를 기고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o-Young Kim ! https://kaya.com/aut[...] 2021-11-10
[2] 웹사이트 '[Web Exclusive] Interview with Kim Bo-Young' https://www.koreanli[...] 2021-11-10
[3] 서적 I'm Waiting for You: And Other Stories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21-04-06
[4] 웹사이트 "I'm Waiting For You: Kim Bo-Young in conversation with Sophie Bowman and Sung Ryu !" https://londonkorean[...] 2021-05-28
[5] 웹사이트 Kim Bo-Young https://kln.or.kr/pe[...] 2021-11-10
[6] 간행물 Genre Fiction in Korean Literature https://muse.jhu.edu[...] 2021
[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Kim Bo-Young: Why the Stars Shine in Earth's Sky https://www.koreanli[...] 2021-11-12
[8] 웹사이트 What's new with South Korean science fiction? https://amazingstori[...] 2017-09-20
[9] 웹사이트 On the Origin of Species Listed on National Book Award Longlist for Translated Literature ! https://kaya.com/202[...] 2021-09-20
[10] 서적 I'm Waiting for You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Publishers Limited 2021-04
[11] 문서 단편 〈스크립터〉의 설정은 이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12] 블로그 《필름2.0》 사이트는 잡지 폐간으로 현재는 열람할 수 없으나, 미술평론가 김호의 블로그에서 당시 기사 스크랩 을 확인 가능. http://blog.naver.co[...]
[13] 문서 발표 당시 제목은 〈회색도시〉.
[14] 뉴스 과학과 SF문화 융합의 미래를 보다 - 2014년 제1회 SF어워드 시상식 개최 (사이언스타임즈, 2014년 10월 6일) http://www.scienceti[...] 2014-10-06
[15] 웹사이트 충무로의 장르 탐험가들 : 봉준호와 김보영 (무비스트, 2009년 7월) http://www.movist.co[...] 20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